慈遊到人(자유도인)

松巖 吾,謙螙. 무엇을 사유(思惟)하며 사는가?

만필 잡록(漫筆雜錄)

★ 붓놀이/紙筆墨 준비, 배우기 5

수묵화의 기법

수묵화 기법 ▣용묵법 (사용하는 먹물의 농도에 따라 구분) ◉초묵(焦墨) : 짙은 먹색, 먹을 갈아 반나절 정도 시간이 지나면 수분이 증발하여 진해지는데 이때의 먹색을 초묵 ◉농묵(濃墨) : 초묵 다음으로 진한 먹색 ◉담묵(淡墨) : 먹물에 물을 많이 섞은 것 ▣용필법 (준법, 묘사법, 붓 터치) ◉갈필법(渴筆法) : 수묵화에서 개발된 기법으로 물기가 거의 없는 붓을 사용해 마르고 거친 느낌을 표현할 때 사용, 먹물이 흥건한 데서 오는 윤택한 느낌과는 정반대의 효과를 내는 것. 다른 말로 말랐다는 고(枯)자를 써 고필(枯筆)이라고도 하고, 또는 물기 없는 붓을 종이 위에 문지른다는 뜻의 찰(擦)자를 써서 찰필(擦筆)이라고도 한다. ◉비백법(飛白法) : 예서 등을 쓸 때 필획 속에 스치듯이 비치는 기교의 ..

한자(漢字)의 서체(書體)

한자(漢字)의 서체(書體) ◈ 갑골문(甲骨文) 거북의 등껍질이나 짐승의 뼈에 칼로 새긴 글자. ◈ 금문(金文) 주로 돌이나 비석, 종, 그릇 등에 문자를 새길 때 쓰던 글씨체이며, 금석문(金石文)이라고도 한다. ◈ 전서(篆書) 대전(大篆)과 소전(小篆)의 글씨체이다. 소전은 진시황이 천하를 통일하고 화폐, 도량형, 문자를 통일할 때에 대전을 가다듬어 둥글게 굴려서 만들었는데 대전에 비해서 정제된 글씨체이다. ◈ 예서(隸書) 전서(篆書)의 번잡한 자획을 간략화하고, 일상적으로 쓰기에 편리하게 만든 글씨체이다. 노예(奴隸)출신의 옥리(獄吏)였던 정막(程邈)이 대전을 변화시켜 만들었기에 예서(隸書)라고 한다. 죄인이나 노예들도 사용기에 편리한 글자라고해서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며, 가로획을 중심으로 하여 매우 ..

★ 서예용어 모음 ★

★ 서예용어 모음 ★  ◆ㄱ 가로쓰기 - 서제를 가로로 배열하여 쓰는 방법으로 글자의 윗 부분을 맞추어씀. 가리개=곡병(曲屛) - 두 쪽짜리의 병풍으로 물건을 가리건 구석 장식용 등의 실용적인 목적으로 쓰임. 간가(間架) - 점과 획의 간격을 조형적으로 알맞게 하는 것. 간찰(簡札) - 간지에 쓴 편지글. 갈필(渴筆) - 먹이 진하거나, 속도를 빨리 하여, 종이에 먹이 묻지 않는 흰 부분이 생기게 쓰는 필획. 강약(强弱) - 필획의 표현이 강하고 약한 정도. 강호(强豪) - 털의 성질이 강한 붓, 황모(黃毛), 낭호(狼豪), 서수(鼠鬚) 등으로 만들어진 것. 개형(槪形) - 글자의 외형(外形). 결구(結構) - 점, 획을 효과적으로 조화 있게 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것. 겸호(兼豪) - 강모(强毛)를 ..